ETF란 무엇인가-인덱스펀드와 지수추종ETF

2024. 7. 12. 10:05ETF

반응형

ETF(Exchange Traded Fund)는 용어 그대로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펀드를 지칭합니다.

처음 시작은 인덱스펀드와 주식을 합쳐놓은 상품으로부터 시작되었기에 상장지수펀드라고도 불립니다.

 

인덱스펀드는 어떤 특정 지수를 복제하는 것이 목적인 패시브 펀드입니다.

나스닥 100, S&P500, KOSPI200 등 특정한 지수를 복제하기 위해 하나의 펀드가 수십, 수백 개의 기업에 분산투자 되어 있으며, 이 펀드의 목적은 최소한의 운영수수료로 시장수익률을 따라가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인덱스 펀드는 1976년에 뱅가드그룹의 초대 회장인 존 보글이 처음 시장에 선보였으며, 이후 운용하면서 펀드의 구조적인 문제점이 보이면서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방식이 바로 현재의 ETF입니다.

자산운용사는 인덱스 펀드를 운용하고, 투자자는 인덱스 펀드 자체가 아닌 인덱스 펀드의 수익증권을 교환하는 방식을 도입한 것입니다.

이러한 시장의 흐름 속에서 ETF는 생겼고, 현재는 수많은 특징을 지닌 ETF가 주식과 같이 거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 ETF는 지수추종 ETF들이 되는데, 기본적으로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생기는 몇 가지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장점

1. 지수를 추종하여 복제하기 때문에 운용이 어렵지 않아 운용수수료가 저렴하며, 비슷한 펀드들보다도 저렴한 경우가 많다.

2. 수많은 기업에 분산투자하기 때문에, 각각의 회사의 리스크를 줄이면서 시장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

3. ETF 자체적인 리밸런싱이 일어나기 때문에 투자자 개개인이 리밸런싱 하지 않아도 된다.

4. 지수추종이라는 기준이 있어 정직한 운용이 될 수밖에 없다.

 

단점

1. 투자자가 원하는 기업만을 구성한 ETF를 찾기도, 투자하기도 어렵다. 이는 특정기업의 호불호의 문제도 있고, ETF의 구성비율의 선호도의 차이일수도 있다. 

2. 운용보수가 있다. 개별기업에 투자하는 것에는 없는 수수료가 존재한다.

3. 지수를 추종하기 위해 부분복제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괴리율이 발생하며, 순자산가치와 시장가가 일치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물론 꾸준히 운용을 통해 조정된다.

4. 한국에서 운용하는 미국지수를 추종하는 ETF의 경우엔 주식시장이 달라 괴리율부터 환차익이나 환차손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단점은 장기투자와 적립식 매매를 진행한다면 커버가 가능하다.

 

현재는 이러한 지수추종 ETF 외에도 수많은 ETF 상품이 있으며, 자신이 원하는 분야나 성향에 맞춰 다양한 상품을 주식과 같이 거래할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미국의 ETF와 한국의 ETF 중 일부를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미국의 ETF들

미국 ETF 티커명 설명
VTI 미국상장된 모든 주식
SPY S&P500(이외도 운용사에 따라 IVV, IVV, SPLG등이 있다.)
QQQ(QQQM) 나스닥100 IT 대형주 (금융회사를 제외한 IT, 헬스케어부분)
BND 만기 1년이상의 미국 채권
GLD
SCHD 배당금을 지급하는 미국 주식 100개의 시가 총액 지수
JEPQ 나스닥100과 주식연계채권
QYLD 나스닥100 합성 커버드콜전략
TQQQ 나스닥100 지수가 상승할 때, 상승률 3배의 수익률을 내는 레버리지

 

한국의 ETF들

한국 ETF 설명
KODEX 200 KOSPI 200 을 추종하며 삼성자산운용에서 운용(운용회사에 따라 앞이 달라진다.)
TIGER 미국나스닥100 QQQ과 동일하며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운용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SCHD와 동일하며 한국투자신탁운용에서 운용
SOL 미국S&P500 SPY와 동일하며 신한자산운용에서 운용
TIGER 미국배당+7%프리미엄다우손스 미국 우량 고배당 기업에 투자 + 옵션을 활용하여 7% 옵션프리미엄을 얻는 커버드콜 ETF
KODEX 200선물인버스2X 코스피200 선물지수가 하락할 떄, 하락률 2배의 수익을 내는 인버스

 

이와 같이 다양한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현물지수뿐만 아니라 선물지수나 원자재등에도 투자할 수 있어 이전엔 각각의 자산군에 분산투자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면, 현재는 ETF만으로도 비슷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거기다 다양한 옵션을 활용하여 특색 있는 ETF들이 꾸준히 나오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을 기초로 하는 BITO, 테슬라를 2배로 레버리지하는 TSLT/ TSLL(1.5배에서 2배로 바뀜), 초고배당을 주는 YMAX 등 다양한 ETF들이 존재하며 앞으로 이러한 ETF들에 대해 공부해보고 합니다.

 

2024.07.11 - [ETF] - 왜 ETF인가 - 투자를 생각할때 ETF를 고려하는 이유

 

왜 ETF인가 - 투자를 생각할때 ETF를 고려하는 이유

일반적으로 주식투자라고 함은 한 주식회사의 주식을 적정한 가격에 매수하여 가지고 있다가 자신이 정한 수익률 이상을 얻으면 매도하여 수익을 내거나, 소유한 주식에 배당되는 배당금을 받

tutoreal.tistory.com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