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형 포트폴리오(1) : QQQ와 SCHD(2)

2024. 7. 15. 00:05ETF

반응형

 

오늘은 QQQ와 SCHD를 어떻게 배분하여 투자를 할 것인가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합니다.

 

더보기

Invesco QQQ Trust (QQQ)

나스닥 100(NASDAQ-100)의 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금융주를 제외한 상위 100개의 기업, 특히 IT와 헬스케어 기업이 주가 되는 성장주 ETF입니다.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SCHD)

다우존스 100의 지수를 추종하면서 배당을 주는 미국 주식 100개의 시가를 추종하는 ETF로, 지속적으로 배당을 성장시킨 기업이 주가 되는 배당성장주 ETF입니다.

 

우선 미국의 3대 지수중 하나인 미국 나스닥 100 은 나스닥에 상장된 비금융주들 중 상위 100개의 기업으로 이루어진 지수에 투자하는 것으로 우리가 잘 아는 기업들이 여럿 포진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구글, 아마존, 메타, 엔디비아들이 있습니다.

 

QQQ는 이러한 나스닥 100의 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특히 IT기업 비중이 커 빅테크기업의 성장세가 가파른 현재 상당한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으며, 분기별로 분배금을 지급하긴 하지만 연 0.6~0.8% 정도이며, 거래량도 ETF 대비 상위권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다우존스 100은 미국에서 지속적으로 배당을 지급한 기록이 있는 고배당 수익률의 종목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재무비율을 기준으로 동종 기업 대비 펀더멘털 강도를 고려하여 선정되는 지수로 쉐브론, 록히트 마틴, 버라이즌, 코카콜라, 블랙록, 덱사스인스트루먼트 등의 기업이 주요 구성 종목이며, 매년 3월 리밸런싱을 진행하는 지수입니다.

 

SCHD는 이러한 다우존스 100을 추종하기에 배당에 메리트가 있어 분기별로 분배금을 지급하여, 연 4% 정도의 배당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우존스 100에서 리밸런싱 하듯 SCHD도 매년 3월에 리밸런싱을 진행해 비교적 안정적이고, 나쁘지 않은 수익률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QQQ와 SCHD의 성격상 상승장에 수익률이 높은 QQQ와 고배당의 안정적이면서 배당 재투자로 복리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SCHD의 조합은 많은 이들이 투자하고 있는 방법주에 하나입니다.

 

누군가 주식투자 어떻게 할까요? 미국에 투자해보고 싶은데 어떻게 해요? 자본금이 1천만원정도 있는데 어떻게 투자할까요? 등의 주식에 막 입문할 질문에 가장 흔하게 달리는 대답이 바로 "QQQ와 SCHD에 5:5로 투자하세요." 일 정도입니다.

물론 좀 더 많은 정보들을 알게 되면 자신의 투자성향에 맞게 QQQ대신 QLD(나스닥100 X2레버리지)를 넣기도 하고, S&P500을 추종하는 SPY(or IVV or VOO 등)와 미국채권 20년물 ETF인 TLT를 포함하기도 하는데, 그것은 이후에 따로 주제를 잡아 공부해보기로 하고, 오늘은 QQQ와 SCHD만의 비율을 기초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보고자 합니다.

 

아래의 그래프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초기 자본금 : 10,000달러, 기간 : 2015-2024 기준

(1)QQQ : SCHD = 5 : 5

QQQ와 SCHD를 5:5의 비율로 투자했을 때 초기 10,000달러였던 자본금은 현재 38,272 달러로 성장했습니다. 

이는 S&P500에 투자한 SPY보다 비교적 높은 수치이며, 누적 수익률 285.72%(연 15.17%)의 수익률을 보입니다. 최대손실(MDD)은 -24%이며, 표준편차는 15.8%의 어느 정도 안정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QQQ가 54.85% 성장한 2023년에 29.71%의 수익을 보여줌으로써 수익에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QQQ가 -32.58%의 하락률을 보인 2022년엔 -17.91%의 하락률을 보여 반대로 위험에 대해서 강한 방어력도 보여주었습니다. 

 

(2) QQQ : SCHD = 7 : 3

QQQ와 SCHD를 7:3의 비율로 투자했을 때 초기 10,000달러였던 자본금은 현재 43,086 달러로 성장했습니다. 

이는 S&P500에 투자한 SPY보다 연간 3.8% 높은 수치이며, 누적 수익률 330.86%(연 16.62%)의 수익률을 보입니다. 최대손실(MDD)은 -27.5%이며, 표준편차는 16.9%로 위험에 따른 손실이 늘어나고 변동성이 커진 대신 상승장일 때 수익성이 커졌습니다. 손실 이후 원금이 복구되는 기간은 10개월 정도 소요되었습니다. 

 

(3) QQQ : SCHD = 9 : 1

QQQ와 SCHD를 9:1의 비율로 투자했을 때 초기 10,000달러였던 자본금은 현재 47,763 달러로 성장했습니다. 

이는 S&P500에 투자한 SPY보다 연간 5.1% 높은 수치이며, 누적 수익률 377.63%(연 17.89%)의 수익률을 보입니다. 최대손실(MDD)은 -30.8%이며, QQQ의 최대 손실인 -32.58%보다는 조금 낮은 손실이지만 큰 차이가 느껴지지는 않으며, 표준편차는 18.2%로 변동성이 크고, 원금이 복구되는 기간은 15개월 정도 소요되었습니다. 

2022년 -29.64%로 QQQ만 투자했을 때의 손실률인 -32.58%에 비해 조금 낮은 손실률을 보였으며, 상승장이었던 2023년 QQQ가 54.85% 상승했을 때, 49.82% 상승함으로 큰 수익률을 볼 수 있었습니다.

 

(4) 정리

이렇게 3가지 비율로 분배된 자료를 보면 QQQ는 상승장일 때 좋은 수익성을 가지지만 하락장일 때는 바닥 없이 그대로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며, SCHD는 상승장일 때도 적게 상승하지만, 하락장일 때도 적게 손실을 보는 안정성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성향을 볼 때, QQQ에서 수익을 보고, SCHD에서 위험을 대비하는 느낌으로 투자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비율로 분배하기 위해서는 우선 개인의 성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40대의 아직 자본금 자체가 적고, 앞으로 꾸준한 현금흐름을 확보할 수 있는 투자자들은 QQQ의 비율을 조금 더 높게 가져가는 전략이 더 추천됩니다. 시장이 안정적이면서 상승장이라 판단되면서 좀 더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자 한다면  QQQ:SCHD의 비율을 8:2나 QQQ로만 투자하는 방법이 더 성향에 맞을 수 있을 것입니다.

현재까지의 기준으로 QQQ의 수익률이 SCHD가 성장하고 배당금도 3-4% 정도 나오는 것을 재투자한 것보다 더 높은 수준의 수익률을 보여주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하락장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SCHD의 비율을 5 정도까지 늘리는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40-60대는 이제 오랜 세월 업무에 종사하셨기 때문에 어느 정도 여유 있는 자금이 있으면서, 앞으로 들어올 현금은 적어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배당주인 SCHD의 비율을 높여서 투자하는 방식이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더보기

만약 2015년 초부터 SCHD에만 10,000달러 투자 후 매월 1000달러씩  투자했다면 10년째 되는 해인 현재 2024년의 SCHD는 원금만 111,500달러, 총 174,439달러라는 자금이 되어 있었을 것이며. SCHD는 분기배당을 진행하고, 배당 수익률은 연 4% 정도이니, 연 6977달러(분기당 1744달러)로 현재 환율 1370원을 기준으로 연 9,559,257원의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월기준으로는 796,604원 정도로 볼 수 있으며, 현금흐름이 중요한 시기인 만큼 SCHD로 안정적인 배당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모든 투자자들이 고려할 점은 QQQ와 SCHD의 투자는 단기투자가 아닌 장기투자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QQQ의 시장수익률과 SCHD의 배당 재투자로 인한 복리의 혜택을 온전히 누리기 위해서는 단타로 투자하는 것이 아닌 장기투자와 동시에 꾸준한 적립식 투자를 진행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QQQ와 SCHD 모두 개별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아닌 지수에 투자를 하는 ETF이기 때문에 이는 시장수익률을 얻는 패시브전략으로 운용되는 상품이며, 잦은 단타전략은 오히려 손해가 증폭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QQQ와 SCHD로 만든 아주 기초적인 포트폴리오로 어떻게 자산을 배분하여 투자할 것인가에 대해 수치적으로 확인해 보았습니다.  

비록 이해를 위해 자본금 10,000달러를 목돈으로 투자한 후에 리밸런싱만 진행한 그래프로 작성되었지만 매달 꾸준한 금액을 투자했다면 그 수익이 더욱 극대화되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2015년부터 10,000달러 투자 후 매년 12,000달러(월 1,000달러)씩 적립식으로 투자했을 때 현재 어떻게 되어 있을지 백테스팅 한 자료로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자기 자신 판단과 책임하에 하여야 하며, 자신 여유자금으로 분산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4.07.17 - [ETF] - Invesco QQQ Trust(QQQ) - 미국 IT 기업들이 큰 비중을 차지한 ETF

 

Invesco QQQ Trust(QQQ) - 미국 IT 기업들이 큰 비중을 차지한 ETF

1. QQQ -  Invesco QQQ Trust오늘은 Invesco QQQ Trust (티커명 : QQQ) 와 함께 나스닥 100을 추종하는 ETF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QQQ로 대표되는 NASDAQ-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나스닥에 상장된 주식들 중 금

tutoreal.tistory.com

2024.07.20 - [ETF] -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SCHD) - 파이어족에게 사랑받는 ETF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SCHD) - 파이어족에게 사랑받는 ETF

오늘은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티커명 SCHD, 통칭 "슈드" ETF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SCHD란SCHD는 우리나라 투자자들에게도 꽤 유명하고 인기있는 ETF입니다. 바로 배당기업을 중심으로 포트

tutoreal.tistory.com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