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연구(9)
-
금의 레버리지와 인버스 투자 - DGP, SHNY, DZZ, DULL
오늘은 금의 현물 가격을 추종하는 레버리지와 인버스 ETN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대부분 금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헷지용이나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보유하기 위해 투자를 합니다.그래서 실물 금으로 골드바나 KRX 금 거래소에서 금을 구매하거나, 금융상품으로 ETF, 금관련 주식등을 매수합니다. 1. 금 투자의 인버스와 레버리지 이러한 금의 투자방법에서도 레버리지가 있는데, 바로 2배의 DGP, 3배의 SHNY 입니다.물론 인버스도 있어서 2배의 DZZ, 3배의 DULL 이 있습니다. 금 현물 추종 ETF, ETN티커 티커1배GLD1배 인버스DGZ2배DGP2배 인버스DZZ3배SHNY3배 인버스DULL 금을 투자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현재 금융공학적인 기준으로 생각해보자면, 첫번째, 인플레..
2025.04.26 -
금리인하 -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오늘은 앞으로 다가올 금리인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아래의 표는 미국의 기준 금리 현황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20년 코로나가 유행하면서 전 세계가 전염병으로 인해 경제에 악영향을 주기 시작했습니다.그리고 2022년이 되어서야 조금씩 코로나가 진정되었습니다. 2022년 초반부터 유럽에서부터 시작하여 점차 코로나로 인한 혼란이 종식되었다고 선언하였지만 경제상황은 상당히 무너진 상황이었고, 미국은 코로나가 종식되면서 생길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금리정책을 시행하기로 합니다. 2022년 1월까지는 기준금리가 0.25%로 저금리였지만 3월의 0.25% p 상승, 5월의 0.5% p, 6월엔 0.75% p 씩 급격한 금리인상을 통해 2023년 7월 5.5% 까지 올라가게 됩니다. 그리고 1년이 지난 ..
2024.09.19 -
초고배당주에 대한 고찰 - CONY를 예시로(배당율 169%???)
오늘은 초고배당을 배당금(이하 분배금과 혼용하여 사용하겠습니다.)으로 지급하는 주식(이하 ETF와 혼용하여 사용하겠습니다.)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합니다.일반적으로 배당을 주는 주식을 편하게 배당주라 표현하며, 배당주라 이름 붙은 주식들은 대체로 안정적으로 끊임없이 배당을 주는 회사의 주식을 의미합니다. 배당주에 대해서는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배당률과 배당성장률에 대한 고찰 - SCHD, 리얼티인컴(O), 에브비(ABBV), 알트리아그룹(MO)오늘은 배당주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비교하면서 어떤 정보를 가지고 배당주에 투자해야 할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질까 합니다. 배당주를 투자하기 전에 고려해야 하는 정보는 여러 가지tutoreal.tistory.com 주주친화정책이 잘 정착된..
2024.09.12 -
채권의 듀레이션(Duration)
듀레이션이란 투자자금의 평균회수기간을 말하는 것으로, 채권에 돈을 투자를 고려할 때 참고하게 됩니다. 대부분 채권에 투자한 원금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채권의 만기일정도로 생각하는데, 실제로는 채권의 액면 금리와 시장기준금리, 만기일까지의 남은 기간 등 여러 요소에 의해 원금회수가 빨라지기도, 느려지기도 합니다. 좀 더 채권을 알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먼저 파악해보겠습니다. 1. 현재가치듀레이션의 개념은 자산의 현재가치와 연관이 있습니다. 현재가치라는 개념은 쉽게 생각하면 미래의 100원이 현재에 얼마일 것인가 또는 현재 어느정도의 금액을 가지고 있어야 내가 원하는 시기에 100원을 갖게 될 것인가에 대해 계산한 가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경제에 대해 잘은 몰라도 현재의 100원이 100..
2024.08.12 -
3가지 포트폴리오 - 60:40, 영구, 올 웨더 포트폴리오
오늘은 3가지 포트폴리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60:40 포트폴리오 전통적인 포트폴리오 중 하나인 60:40 포트폴리오는 구성이 매우 간단합니다.주식 60 : 채권 40 으로 자산을 배분하여 투자하는 것입니다.투자자들이 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은 간단합니다.미국 주식시장 전체를 추종하는 VTI ETF와 미국의 만기 1년 이상인 전체 채권을 추종하는 BND ETF를 보유하는 것입니다. 이 포트폴리오는 전통적이라 할 만큼 오랜 세월동안 추천되어 왔었던 포트폴리오지만 아직도 많은 초보 투자자들에게는 안정적인 포트폴리오가 될 수 있습니다. 위의 자료와 같이 60:40 포트폴리오에 자산을 투자했을 때와 SPY에 단독투자했을 때, 2016년부터 역전하여 현재는 SPY에 비해 -35% 차이가 나는 ..
2024.07.28 -
포트폴리오 -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
오늘은 포트폴리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포트폴리오는 자산을 배분하여 위험을 분산하는 이론으로 해리 마코위츠가 발표한 재무관리 이론입니다. 이 이론으로 해리 마코위츠는 노벨상을 받았습니다. 여기서 위험은 수익률의 변동성으로 정의하며, 자산의 수익률이 평균으로부터 많이 움직일수록, 투자자가 얻게 될 수익률의 범위가 크게 되기 때문에 위험도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위험은 분산과 표준편차로 표현할 수 있는데 상관계수를 가지고 자산군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적절히 위험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결론만 보면, 상관관계가 먼 자산군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포트폴리오를 만든다면 어떤 자산군이 손실을 입었을 때, 상관계수의 차이에 의해 덜 손실을 입는 자산도 있고, 오히려 이익을 얻는 자산도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2024.07.26